본문 바로가기
건강

고혈압과 심근경색, 식물성 기름 섭취로 해결 가능

by 엠에스존 2023. 2. 9.

동물성 기름과 공장에서 생산한 기름 섭취하면 뇌졸증과 심장병 위험 크다.

출처 : 분당서울대병원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모든 기름은 포화 지방과 불포화 지방으로 나눌 수 있다. 

포화 지방은 고기류나 유제품 같은 동물성 식품에 많이 들어 있다. 

실내 온도에서도 딱딱하게 굳어져 있기 때문에 불포화지방에 비해 쉽게 상하지 않는다. 

 

불포화지방은 주로 식물의 씨앗에 들어 있다. 또 등푸른 생선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포화지방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도 녹는 기름이다. 체내에서 합성이 불가능하여 반드시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한다는 점에서 필수지방이라고도 한다.
불포화지방은 뇌, 신경세포, 망막 등을 이루며, 뇌세포의 생화학 반응에도 관여 한다.  

또 녹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용해되어 대사되고, 정상적인 대사 과정에서 포화지방 등 산패(酸敗)된 지방질을 결합시켜 체외로 끌고 나오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피가 맑아지고, 심장 등 오장 육부가 경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고혈압, 뇌출혈, 동맥경화가 예방된다.

 

 혈압관리에는 현미와 당근이 좋다

 

고혈압과 저혈압을 정상으로 하는 현미, 당근을 이용한 식이요법

1. 고혈압 정상으로 돌리는 현미 식이요법. 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현미 식이요법으로 고혈압을 치료하는 관습이 있었다. 이에 따라 스위스의 한 요양소에서 환자들에게 이 식이요법을 실행한

mszone.tistory.com

 

단, 불포화지방은 녹는 온도가 낮은 까닭에 공기에 노출되면 산화되기 쉬우므로 보관과 운반에 문제가 따른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물성기름을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액상의 기름을 고체로 만드는 방법을 선호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각종 화학물질이 첨가되므로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나아가 이렇게 만든 불포화지방은 높은 온도에서 녹으면서 스테아르산으로 변질되기 때문에 건강에 더욱더 나쁜 식품이 된다. 

건강을 위해서 식물성 경화유지를 피하는 것이좋다.

 


화학적으로 동물 또는 식물에서 채취한 기름을 통틀어 유지(油脂)라고 한다. 

공장에서 정제한 유지와 동물성 지방에서 발견되는 포화지방을 섭취하면 체온에 의해 제대로 녹지 않기 때문에 

인체는 이 지방산을 소화시키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이로 인해 만성 피로에 시달리게 된다.  

출처: 코메디닷컴

또 용해되지 않은 지방으로 인해 혈액이 엉기게 된다. 

이 혈전(血戰)이 뇌의 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이 발생하고, 심장에 쌓이면 심장이 굳어져 사망할 위험이 높아진다. 

또 중성지방의 증가로 지방간의 위험이 높아지고, 비만이 초래된다.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식물성유지나 쇼트닝 기름 등은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를 튀기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들 가공 식품에 들어가는 각종 화학 첨가제까지 감안한다면 이들 식품이 인체에 얼마나 해로운지를 알 수 있다.

이와같은 점을 고려할 때 해바라기 씨앗, 달맞이꽃 씨앗, 올리브 열매, 대마 씨앗과 같은 식물성기름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그 중에서  가장 훌륭한 불포화지방 공급원은 참깨라고 할 수 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참깨는 43% 이상의 불포화지방을 함유하고 있으며 미네랄과 단백질의 질이 우수한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된다.

참깨나 참기름은 장수국가로 꼽히는 극동아시아 지역 사람들이 건강식으로 많이 섭취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