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에 좋은 음식 시리즈
1. 카레 https://mszone.tistory.com/19
2. 호두 https://mszone.tistory.com/25
3. 키위 당근 https://mszone.tistory.com/34

시험을 앞둔 수험생이나 건망증이 심한 사람, 그리고 치매환자는 카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흔히 먹는 카레에 기억력을 높여주고,
치매를 치유하는 성분이 있기 때문이다.
카레는 강황, 후추, 계피, 겨자, 생강, 마늘, 박하잎, 칠리 페퍼, 사프란, 베이 잎, 정향, 육두구 등 15∼20개 향신료를 섞어 만든 복합 향신료이다. 이중 주 원료는 강황으로 카레의 30∼ 40%를 차지한다. 카레의 노란색과 독특한 맛은 바로 강황이 빚어낸 것이라고 하겠다. 뇌를 맑게 하는 성분인 커큐민 역시 강황에 주로 들어 있다.
이 강황은 생강과에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와 그 주변의 열대 지방이 원산지이다. 카레와 겨자 등의 주된 천연 색소성분이며, 고대로부터 염증과 피부질환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향신료로서 정신을 안정시키는 진정제로도 사용되어 왔다.

카레를 많이 섭취하고 있는 인도인의 경우 치매 유병율이 미국인의 25%에 불과할 정도로 낮다고 한다. 이 역시 카레가 뇌에 형성되는 노폐물을 제거하고, 뇌 혈류를 원활하게 하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 의과 대학의 밀란 피알라 박사는 국립과학원회보 (PNAS)에 실린 연구논문에서 카레의 주성분인 커큐민(curcumin)이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치매 환자의 뇌에서 형성되는 악성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를 제거한다고 밝혔다.
또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의 그레고리 콜 박사는 치매와 비슷한 상황을 유발시킨 쥐의 말초혈관에 커큐민을 주입한 결과, 이 성분이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을 넘어 뇌로 들어가 뇌세포를 파괴하는 베타 아밀로이드를 분해하고, 단백질 플라크의 형성을 차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한편 강황은 고대로부터 염증치료제로 사용 되어왔듯이 강력한 산화방지 기능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커큐민이 암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속속 발표되고 있다.

커큐민은 뇌를 늙지 않게 하고 인체의 산화를 방지하여 치매와 암을 치유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암으로 고생하는 사람이라면 생활 속에서 카레를 즐겨 볼 만하다.
미국 텍사스대학 앤더슨 암센터의 바랏 아가 왈 박사는 <암(Cancer)>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커큐민이 흑색종(黑色腫)을 없앤다고 밝혔다. 또한 유방암, 췌장암 등은 물론, 복합 골수종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세포주를 사용한 초기 실험에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영국의 존 백스터 교수 연구팀은 카레와 같은 향신료가 식단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는 인도에서 식도계의 암 발병률이 매우 낮다는 통계자료에 착안하여 커큐민의 암 치유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커큐민이 식도암과 관련된 주요 악성 단백질의 발현을 차단한다는 것을 밝혔다.
삼성서울병원 비뇨기과 최한용(崔漢龍) 교수팀은 커큐민이 전립선암의 발생과 확산을 막는 데 효과적이라는 게 동물실험 결과 밝혀졌다고 한다. 연구팀은 전립선암 세포주를 피하조직에 주입하여 전립선암을 유도한 후, 커큐민을 주입하는 쥐들과 위약 (僞藥)을 먹인 대조군으로 나눠 전립선암의 크기 변화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커큐민을 먹인 쥐들은 전립선암의 용적이 위약그룹에 비해 41% 정도 줄었으며, 폐로 암이 확산된 수도 89% 정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한다.
카레 많이 먹자!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에 좋은 음식 8가지 (2) | 2023.02.01 |
---|---|
치아(이빨), 딱딱한 음식 씹어야 튼튼해진다 (4) | 2023.02.01 |
두부의 영양소 및 효과 (0) | 2023.01.31 |
암에 걸리지 않을 7가지 생활원칙 (0) | 2023.01.30 |
기침 빨리 멈추는데 최고 좋은 음식 7가지 (2)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