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26일 신문 기록
2023년 1월 26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1. 현대차 10년만에 생산직 채용에 공무원·대기업 직원도 ‘관심’ → 평균 연봉 9600만원, 만60세 정년보장, 현대차 평생 할인(재직시 30%, 퇴직후 25%), 밤샘 근무 없음(주간 2교대)... 2년 전 기아 생산직 경쟁률은 500대1. 상반기 400명·하반기 300명. 나이·전공·학력제한 없이 뽑아.(문화)
2. 1월 가스, 난방요금 폭탄 왜 → LNG 수입가격 3배 폭등. 2020년 12월 톤당 358달러에서 2021년 12월 892달러로 1년 새 3배... 도시가스요금에 연동되는 주택용열요금도 메가 칼로리당 지난해 3월 65.23원에서 지난해 11월 89.88원으로 8개월 사이 37.8% 급등.(문화)
3. ‘음력 설’ vs '중국 설' → 중국 네티즌들, ‘음력 설(Lunar New Year)’이 아니라 ‘중국설’이라며 디즈니, 영국박물관(대영박물관) 등의 음력설 표현에 강하게 반발. 최근 자행된 중국 해커조직의 우리말학회, 한국고고학회 등 한국 연구기관 공격도 이에 대한 반발의 일환이라는 분석.(문화 외)
4. ‘DTC 유전자검사’ 인증제 → 적게 먹고도 살이 찌는 체질, 탈모, 술(알코올)분해 능력 등 70여 체질 항목을 10~30만원대 비용으로 유전자 검사 가능. 2030에서 크게 수요가 늘자 업체 난립... 보건복지부, 작년 7월부터 DTC ‘유전자검사 인증제’를 도입, 정확도 등 기준 통과한 6개 업체가 인증 획득.(헤럴드경제)
5. 故강수연의 마지막 영화 ‘정이’, 3일 연속 넷플릭스 세계 1위 → 기후변화로 폐허가 된 지구를 떠나 이주한 쉘터에서 전쟁이 발발, 이 전쟁을 끝내기 위해 전설적인 용병 ‘정이’의 뇌를 복제, 최고의 전투 AI를 개발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 강수연은 ‘정이’(김현주)에 대해 특별한 감정을 가진 연구소 연구자 역.(아시아경제)
6. 세계 여행객들이 고른 가장 안전한 도시, 대만 '타이베이' → 최근 영국 보험사 ‘윌리엄러셀’ 설문조사. 2위는 일본의 도쿄, 3위 체코 프라하, 4위 덴마크 코펜하겐, 5위 싱가포르... 가장 안전하지 못한 도시는 아르헨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조사돼. 이번 조사는 범죄율에 주안점을 둔 조사로 한국 도시는 20위권내 없어.(아시아경제)
7. 의대로 갔나? ‘SKY 이공계’ 중퇴 3년 새 60% 급증 → 지난 해 1421명 자퇴. 의약학계열 선호 현상 심화. 일부 학과는 5명 중 1명 자퇴. 반면 인문계열 중도탈락자는 2019년 444명에서 2021년 453명으로 거의 변화 없어.(경향)
8. 전기차, 과연 내연차 대체할 수 있나? → 한파에 배터리 효율 떨어지고 히터 켜면 주행거리 반토막... ‘고향길 충전 난민이 따로 없었다’. 일부 전기차 운전자들은 귀성위해 유류차 렌트하기도. 히터 안 켤 수 없는 택시는 하루 두 번 충전 필요, 시간이 돈인 기사들 애로.(동아)
9. 음력설 고집할 이유 있나? → 세계가 맞는 연말연시와 달라 설 두 번 쇠는 셈. 일제시대, 이승만, 박정희 정권 모두에서 양력설 정책. 그러나 국민들은 음력설 고수, 1989년 노태우정부 때 정식 부활. 음력설은 전통 설이고 양력설은 일제의 잔재라는 주장이 있지만 음력설 역시 중국식 새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해.(매경, 사설)
10. 설 잘 ①세세요 ②쇠세요 ③쇄세요 ④쐬세요 → ②번이 정답. 생일이나 기념일 등을 맞아 ‘지내다’는 뜻으로는 ‘쇠다’를 써야 맞다. ④번의 ‘쐬다’는 ‘바람을 쐬다’처럼 쓰인다.(헤럴드경제)
--------------
1월 26일 목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 나경원 전 의원이 장고 끝에 결국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하지 않기로 하면서 국민의힘 당권 경쟁은 김기현, 안철수 의원의 양강 구도로 치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오늘 여당 지도부와의 오찬에서 전당대회와 관련해 언급할지 주목됩니다.
● 아랍에미리트의 적은 이란 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여당 지도부가 맞는말 아니나며 적극 옹호했습니다. 순방 성과가 외교 논란에 묻히고 있다는 윤 대통령의 불만을, 여당이 대신 나서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
● 과거 윤석열 수사팀이 불구속을 조건으로 회유를 시도했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한국일보 취재에 따르면 이제영 전 대전고검 검사가 윤석열 대통령이 이끌던 국가정보원 댓글 조작 사건 수사를 방해한 혐의로 2017년 검찰 수사를 받을 때 불구속 조건 회유를 받았다고 법정에서 증언했다고 합니다.
● 미국과 독일이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주력전차를 지원하겠다고 밝히면서 서방 국가들은 일제히 환영했습니다. 전차가 대량으로 투입될 경우 전황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러시아는 극도로 위험한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 장애인 생활체육 지도자가 교육을 받는 발달장애인이 지시를 따르지 않는다며 가혹행위를 저질렀습니다. 해당 행위는 학대로 결론 났지만, 지도자는 구두경고 조치를 받는 데 그쳐 솜방망이 처분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 중국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 조직이 우리나라 학술단체 홈페이지 12곳을 잇따라 해킹했습니다. 이들은 정부 기관과 언론사 등 2천여 곳에 대해서도 해킹을 예고하고 있어 보안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 유엔군 사령부가 북한 무인기 사태와 관련해 북한뿐 아니라 우리 군사작전도 정전협정을 위반했다고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은 지난달 26일 무인기 5대를 군사분계선 이남으로 날려 보냈고, 우리 군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군사분계선 너머로 무인기 석대를 올려 보낸 바 있습니다.
● IMF와 세계은행에 이어 UN도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춰잡았습니다. 미국과 유럽의 경제 둔화가 두드러지면서 최근 수십 년 사이 가장 낮은 1.9%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올해 미국의 성장률은 0.4%에 그친 뒤 내년에는 1.7%, 유럽연합은 올해 0.2%, 내년 1.6%입니다.
● 재산세 등 세금 부과 기준이 되는 올해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14년 만에 하락해 보유세 부담이 2020년 수준으로 크게 줄어듭니다. 집값 하락세 속에 전셋값이 반토막 나는 곳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 서울시가 사업체 약 23만 곳을 조사한 결과 코로나19 여파로 소매업 가운데 편의점이 가장 많이 문을 닫았다고 합니다. 폐업 위험률이 가장 높은 자영업 대표자 연령대는 20대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50대 사업자의 폐업 위험률이 가장 낮았는데, 자본과 경험에 따른 노하우의 차이로 연령대가 높을 수록 더 안정적인 영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자퇴하고 의대로 진학하는 SKY 이공계 학생들이 3년 전보다 60% 급증했습니다. 의약학계열 선호 현상이 심화하면서 대학 입학 후 재수를 위해, 또는 반수를 해 성공한 뒤 자퇴하는 학생이 늘어났기 때문인데요. 상위권 대학의 일부 학과는 재적 인원 5명 중 1명이 자퇴할 정도로 의대 쏠림이 심각했다고 합니다.
● 국내 정유업계는 치솟는 유가에 힘입어 지난해 3분기까지 15조 원 넘는 영업이익을 올렸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유가가 오르면서 이익률이 높아졌습니다. 이렇게 외부 요인으로 큰 수익을 거둔 기업에 이른바 횡재세를 거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야권에서 나왔습니다.
● 강추위 속에 도시가스 요금 등 난방비가 크게 오른 데 이어 일부 지역에선 가스 연료비를 내지 못해 버스 운행이 중단됐고, LPG 차량 판매도 감소했습니다. 전기와 교통요금도 줄줄이 오를 예정이어서 서민 부담이 가중될 전망입니다.
● 강추위가 이어지면서 전력 수급에빨간불이 켜졌습니다. 특히 오늘이 고비가 될 전망인데요. 수요가 늘어난 데다눈과 흐린 날씨로 인해 태양광발전이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당장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발전기 고장과 같은 특별한 변수가 생기면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소비자가 예상하는 향후 1년의 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석 달 만에 다시 상승했습니다. 한국은행의 1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해 12월보다 0.1%포인트 오른 3.9%로 조사됐습니다.
● 겨울철만 되면 급격히 줄어드는 전기차 주행거리에 차주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저온 상태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이 둔해지면서 성능이 떨어져 주행 거리가 짧아진다고 합니다. 국내에 출시된 전기차의 상온과 저온에서의 1회 충전 시 주행가능 거리는 최대 110km 이상 차이가 납니다.
● 추운 겨울이 되면 따뜻한 붕어빵 꼭 생각이 나곤 하죠. 최근 배달 시장이 크게 늘면서노점상이 아닌 죽집, 과일가게, 백반집 등에서배달 음식집에서 붕어빵을 파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합니다. 이게 좀 어색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사례들을 보면 많은 사람들이 해당 식당의 메인 메뉴와 함께 디저트로 붕어빵을 같이 주문한다고 합니다.
● 새벽부터 수도권을 비롯한 중부 지방에 눈이 내리기 시작했고, 출근 시간에 많은 눈이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를 가동했고, 비상근무에 돌입한 서울시는 출퇴근 시간대 지하철과 시내버스를 추가 배차했습니다.
출처간추린 아침뉴스
■ 최고 화제 뉴스 Top 10
1위. 고민정 “尹心 무서워…유승민·이준석·나경원 잘려나가는 모습 참 잔혹” (댓글:2757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42250?ntype=RANKING
2위. 난방비 3배가 끝 아니다... 文정부가 떠넘긴 폭탄, 올해 더 커진다 (댓글:2548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42362?ntype=RANKING
3위. 한동훈 처조카 논문에 외숙모 교수 이름...연대 “연구부정은 아냐” (댓글:2301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624634?ntype=RANKING
4위. 시부모가 사준 집인데…주무시고 간다니 소리 지른 아내 [이슈 ] (댓글:2237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802854?ntype=RANKING
5위. 한동훈 처조카 논문에 연세대 외숙모 의대 교수 이름…“연구부정은 아니다” (댓글:2162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00940?ntype=RANKING
6위. [단독] 문 정부 난방비 적게 올려 윤 정부에 가스요금 인상 부담?···MB 땐 더 적게 올려 (댓글:2132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00945?ntype=RANKING
7위. “초등생이 성인 날아차기”... 인천 모텔 집단폭행 10대들 신상 털렸다 (댓글:2108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42337?ntype=RANKING
8위. “밤 11시 신고 출동하자 고교생이 ‘집 데려다 달라’”…경찰의 분노 글 (댓글:1803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42256?ntype=RANKING
9위. 나경원, 불출마 선언 솔로몬 재판의 엄마 같은 심정으로 그만두기로 (댓글:1623개)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249739?ntype=RANKING
10위. 막차 끊겼다고 경찰차 부른 10대들…부모도 “왜 안 데려다 줘” (댓글:1577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582158?ntype=RANKING
■ 최다 추천 핫딜 Top 10
[G마켓] 한식교자 440g 4봉 얇은피 320g 2봉(14,210원/무료)
https://www.ppomppu.co.kr/zboard/view.php?id=ppomppu&page=1&divpage=76&&no=450144
[티몬] 지포스 RTX 4070 Ti 토마호크 EX D6X 12GB (1,073,000원/무료)
https://m.fmkorea.com/5431617722
[쿠팡] 아날로고 온습도계 (1,840원/쿠팡와우무배!)
https://m.fmkorea.com/5431986396
[스팀] It Takes Two 62% 할인 (16,280원/무)
https://m.fmkorea.com/5432362872
(티몬) 컬쳐랜드 5만원권 (46,050/무료)
https://www.ppomppu.co.kr/zboard/view.php?id=ppomppu&page=1&divpage=76&&no=450068
[11번가] 도킹형 일체형 보조배터리5000mah (6,900원/무료)
https://m.fmkorea.com/5430574395
[g마켓] 키스틱 체다치즈 400g x 4봉 총 64개입 (스마일클럽) (13,970원/무료)
https://m.fmkorea.com/5431637212
[wear os] 워치페이스 2종 SamWatch Digital Final 2 , PRADO X2 (무료/없음)
https://m.fmkorea.com/5432176173
[G마켓] 뷰메이트 NB H100모니터암거치대 (18,450원/3,000원)
https://m.fmkorea.com/5430483985
[IOS] Video Deshake - Stabilizer (무료/무료)
https://m.fmkorea.com/5432441232
■ 아파트 상승거래 Top 10(일주일 기준)
1위. [경기도] 시범단지삼성한신 32평 13.5억
(직전거래 22년12월 기준 +5.5억)
2위. [세종] 가락마을2단지세종힐데스하임 79평 11.5억
(직전거래 19년06월 기준 +4.2억)
3위. [서울] 한양1차 51평 39.0억
(직전거래 21년02월 기준 +4.0억)
4위. [부산] 범양레우스센트럴베이 30평 6.9억
(직전거래 23년01월 기준 +2.9억)
5위. [부산] 해운대대림3차 63평 8.35억
(직전거래 20년08월 기준 +2.55억)
6위. [서울] 상계주공4단지 29평 8.5억
(직전거래 21년07월 기준 +2.5억)
7위. [서울] 서울상봉듀오트리스 77평 18.5억
(직전거래 20년10월 기준 +2.5억)
8위. [서울] 에이아이디차관주택 23평 27.6억
(직전거래 23년01월 기준 +2.2억)
9위. [서울] 젬스톤타운 27평 5.1억
(직전거래 17년04월 기준 +2.1억)
10위. [경상북도] 명지렉스빌 48평 3.9억
(직전거래 08년05월 기준 +2.04억)
- 상승거래 전국 총 695건
■ 아파트 하락거래 Top 10(일주일 기준)
1위. [서울] 현대6,7차 51평 45.0억
(직전거래 22년06월 기준 -10.0억)
2위. [서울] 한양1차 27평 21.85억
(직전거래 22년07월 기준 -8.85억)
3위. [서울] 개포주공7단지 34평 20.0억
(직전거래 21년08월 기준 -8.0억)
4위. [서울] 마곡엠밸리7단지 33평 10.64억
(직전거래 21년09월 기준 -6.91억)
5위. [서울] 우성1,2,3차 31평 17.0억
(직전거래 21년08월 기준 -6.0억)
6위. [서울] 래미안퍼스티지 34평 31.0억
(직전거래 22년11월 기준 -5.5억)
7위. [경기도] 동탄역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7.0 33평 7.85억
(직전거래 21년09월 기준 -5.0억)
8위. [서울] 우성 46평 13.7억
(직전거래 22년05월 기준 -4.45억)
9위. [서울] 도곡렉슬 33평 23.5억
(직전거래 22년09월 기준 -4.3억)
10위. [부산] 해운대힐스테이트위브 40평 6.3억
(직전거래 22년12월 기준 -4.2억)
- 하락거래 전국 총 1139건
■ 주요 경제 지표
코스피 : 2,429(1.39%)
코스닥 : 732(2.00%)
달러 : 1,236(-0.28%)
나스닥 : 11,313(-0.18%)
다우지수 : 33,744(0.03%)
S&P500 : 4,016(-0.02%)
WTI(석유) : 80(0.03%)
GOLD(금) : 1,943(0.37%)
비트코인 : 28,737,000(1.36%)
이더리움 : 1,986,500(1.79%)
리플 : 519(1.37%)
■ 중고차다모아 - 매일 1,000대 이상 중고차 직거래 매물 등록
https://cardamoa.com/app
■ 퀵뉴스 - 뉴스와 이슈를 한곳에서 편하게
https://quicknews.co.kr/app
■ 오늘의 명언
"먼저 행동으로 옮기고 나서 말하라." - 스티븐 스필버그